
Ⅳ. ‘공공선택학저널’ 논문 투고규정
1. 논문 제출
원고는 본 학회의 온라인 투고 창구, e-mail, 혹은 편집위원회 대표주소 중 학회가 사전에 지정하는 방식으로 제출한다. 제출한 원고는 회송하지 않는다. 기고 원고는 동일 언어로 다른 학술지에 투고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2. 논문 심사
‘공공선택학저널’(Journal of Public Choice)에 기고된 논문의 게재 여부는 편집위원회가 위촉한 2인 이상의 심사위원의 심사 결과를 토대로 편집위원회가 결정한다(‘공공선택학회 논문 심사규정’ 참조).
3. 작성 언어
원고는 원칙적으로 한글 혹은 영문으로 작성한다. 그 밖의 언어는 고려하지 않는다.
4. 저작권 이양동의서의 건
(i) 본 학회지에 게재가 확정된 논문의 저작권은 ‘공공선택학회’에 귀속된다. 따라서 논문 저자는 본 학회가 제공하는 저작권 이양 동의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단, 저자는 학술 연구를 위한 목적에 한해 본인의 논문을 복제, 배포, 전송, 공연 등으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학회는 논문에 대한 2차적 저작물 작성권을 보유하지 않으므로, 저자는 해당 논문을 번역하거나 수정·편집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ⅱ) 게재된 논문은 원본의 형태를 유지하는 조건하에, 저자의 개인 홈페이지나 소속 기관의 디지털 아카이브 등에 온라인으로 게시할 수 있다.
(ⅲ) 본 저작권 이양 동의서에 서명함으로써, 저자(들)는 문서에 명시된 모든 조항을 숙지하고, 이에 전적으로 동의함을 확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5. 원고의 구조
(i) 원고는 A4 용지 11p로 작성한다. 상단 35mm, 하단 30mm, 및 좌우 각각 30mm의 여백을 두어야 한다.
(ⅱ) 원고의 첫 장에는 논문 제목, 저자 성명과 소속, e-mail 주소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ⅲ) 이어서 네모 상자에 각 장(章)의 제목을 로마자 번호(Ⅰ, Ⅱ, ..)로 구성된 목차를 작성한다.
(iv) 그 목차 밑에 초록을 작성한다. 초록 하단에 주제어(Key words)를 5개 이내로 단다. 초록은 500자 내외로 쓰며 공백제외 900자를 넘지 않는다, 이상의 분량은 A4 용지 1매를 초과하지 않는다.
(v) 영문 논문의 경우, 위 (iii)의 목차는 영어로, (iv)의 초록 대신 Abstract로 표시하며 논문 끝의 Abstract 대신 “초록”을 단다. Abstract는 200단어 내외로 쓰며 400단어를 초과하지 않는다. Abstract 하단에 Key words를 5개 이내로 단다. 이상의 내용은 A4 1매를 넘지 않는다.
(vi) 장, 절 기타 타이틀 이후 처음 시작하는 문단은 ‘들여쓰기’를 하지 않는다.
(vii) 본문 중의 인용은 ‘윤홍근(2020: 16-23)’, ‘황수연∙황인학(2011: 45-47)’의 형식으로 본문에 작성하고 문장 끝에 표기 시는 ‘....이것은 주관주의를 완전히 벗어난다(Boettke, Coyne, and Leeson, 2007: 138).’ ‘.....(Buchanan and Tullock, 1962: 25-30).’ 식으로 표시한다. 기타의 인용이나 긴 설명은 각주를 이용한다. 원고의 각 장은 로마 숫자(I, Ⅱ, Ⅲ…)로, 각 절은 아라비아 숫자(1. 2. 3...)로 전개한다.
(viii) 논문 본문 맨 뒤에는 부록(필요한 경우에만), 참고문헌, Abstract의 순서로 작성한다. 영문 논문의 경우 (필요 시) Appendix, References, 초록의 순서로 작성한다.
6. 참고문헌
‘참고문헌’(영문 논문의 경우 ‘References’) 표기는 다음과 같은 방식을 따른다.
국내 국문 학술지:
안도경(2014), 정치학과 실험, 『평화연구』, 22(2): 326-359.
유금록(2011), 잔여기준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지방공기업의 효율성 평가: 하수도 공기업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1(4): 61-85.
국내 단행본(보고서 포함):
최병선(2023), 『규제 vs 시장: 시장을 알아야 규제가 보인다』, 가갸날.
박소은⋅안영⋅고제이(2021), 『근로(능력) 빈곤층에 대한 근로장려세제의 효과 분석』, 연구보고서(수시) 2021-0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문기사:
심석용(2023), "단란했던 집, 1년전부터 변해"…일가족 5명 참극 전 무슨 일이,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8246.
자료:
민경국(2021), 하이에크는 왜 기본소득제를 반대했나? (한국하이에크소사이어티 월례 포럼 발표 자료, 2021.09.30.).
서울특별시(2024). 오세훈표 디딤돌소득 2년차 … 탈수급 8.6%・근로소득 증가 31% ‘합격점’, 보도자료, 2024. 10. 7.
통계자료:
기타통계청(2023),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행정안전부(2023), 세외수입 징수실적: 총괄: 징수실적(전국 총괄).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영문 단행본 일부:
Brennan, Geoffrey and Loren Lomasky(1989), Large Numbers, Small Costs: The Uneasy Foundations of Democratic Rule, In Geoffrey Brennan and Loren Lomasky(eds.), Politics and Process: New Essays in Democratic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2-59.
영문 단행본(보고서 포함):
Buchanan, James M. and Gordon Tullock(1962), The Calculus of Consent: Logical Foundations of Constitutional Democracy,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Durbarry, Ramesh, Norman Gemmell and David Greenaway(1998), New Evidence on the Impact of Foreign Aid on Economic Growth, CREDIT Research Paper 98/8, University of Nottingham,
번역서:
Boudreaux, Donald L. and Randall G. Holcombe(2021), The Essential James Buchanan, The Fraser Institute. 한글판, 『본질적인 제임스 뷰캐넌』, (황수연 역, 도서출판 리버티, 2021).
한국 학술지 영문 논문:
Holcombe, Randall G.(2022), Political Capitalism and Rent-Seeking, 『공공선택학저널』, 1(1): 1-18.
외국 학술지 영문 논문:
Romer, Thomas and Howard Rosenthal(1978), Political Resource Allocation, Controlled Agendas, and the Status Quo, Public Choice, 33(4): 27-43.
Tullock, Gordon(1967), The Welfare Cost of Tariffs, Monopolies, and the Theft, Western Economic Journal, 5(3): 224-32.
(1975), The Transitional Gains Trap, Bell Journal of Economics, 6(2): 671-78.